All MENU

TOP

세부 내용

오전 세션
우주정책 분야(7편) 우주기술 분야(6편)
  • 우주안보의 공법적 의의와 제도화의 필요성(홍종현/경상국립대)
  • 트럼프 2.0 시대 우주안보 정책 전망(오일석/국가안보전략연구원)
  • 우주안보 학술분야 국제협력 활동 동향 분석 및 실행 방안(김상호/건국대)
  • 우주안보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분석틀과 연구 방향(엄정식/공군사관학교)
  • 공군 우주영역인식 능력 발전방향(오병훈/공군본부)
  • 한국과 유럽의 STM 협력 방안(김종범/항우연)
  • 미국의 수출통제 제도와 최근 동향(황진영/항우연)
  • 위성 텔레메트리 데이터 개념 및 AI기반 최신 위성 고장탐지 연구 동향(최정렬/IOPS)
  • 위성탑재 수신기의 최신 재밍기술에 대한 취약성 분석(이광일/국제전자전협회)
  • 합성 개구면 레이다 영상 기반 자동 표적 탐지 및 식별 기술 동향(김경태/포항공대)
  • 중저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변화탐지 AI 모델 동향(양희인/컨텍)
  • 적외선 스펙트럼 영상을 활용한 AI 기반 자동 탐지 기술의 최근 동향 분석(김성호/영남대)
  • 위성통신 모뎀의 구조적 특성과 사이버 위협 기술 수준 분석(최형준/고려대)
오후 1세션
법정책 및 우주사이버 분야(4편) 우주위험감시 분야(4편)
  • 우주계약 법제의 발전 방향과 향후 예상되는 법적 분쟁(이인수/법무법인광장)
  • 북러 전략적 관계 강화와 우주협력(최은석/공군사관학교)
  • 우주 사이버보안 테스트 플랫폼을 활용한 원격명령 공격 분석 및 대응(최종욱/항우연)
  • 중국의 우주안보외교(차정미/국회미래연구원)
  • 시계열 궤도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위성 궤도기동 탐지 연구(성재동/항우연)
  • 우주위험감시를 위한 통합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 개발(김호식/천문연)
  • 우주위험감시를 위한 중·고궤도 광학감시시스템 (BRAHE 시스템) 개발(최진/천문연)
  • 우주위험대응 통합시스템 개발 현황(김재우/KAIST)
오후 2세션
안보자산개발 분야(7편) 위성정보활용 분야(7편)
  • 우주물체 능동제어위성 임무설계 및 개발 현황(서정기/KAIST)
  • 우주항공시스템 AI 기반 온보드 자율의사결정 기술 연구(안효정/항우연)
  • 민간 우주 시스템의 공공 임무 활용을 위한 고려 사항(이창호/항우연)
  • 한반도 집중감시를 위한 고타원 경사궤도 SAR 임무 설계에 관한 연구(송경민/한화시스템)
  • SpaceEye-T 1호 발사/초기현황 및 계획(김도형/쎄트렉아이)
  • 국가 해양안보 역량 강화를 위한 해양경찰 위성활용시스템 개발(성노훈/항우연)
  • 우주시스템 보안성 향상을 위한 기밀연산기술 적용 가능성 연구(장진수/충남대)
  • 초소형위성을 활용한 우주기반 우주감시 기술동향(김극남/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)
  • 초소형군집위성의 신뢰도 및 가용도 예측 선행연구(김유광/항우연)
  • 열적외선 위성영상 처리와 북한의 주요 시설 분석사례(정성학/우주안보연구소)
  • 위성 활용을 위한 ARD 현황 및 사례(김태화/위성데이터처리부)
  • SAR 영상 객체 탐지를 위한 이상징후 시나리오 기반 학습용 가상 SAR 영상 생성 자동화 시스템(김병준/한화시스템)
  • 딥러닝기반 다출처 영상융합 활용기술 개발(김진우/LIG넥스원)
  • 단일채널 SAR를 활용한 선박, 항공기, 차량의 이동 모션 추정(송주영/서울대)

* 포스터 발표 2건

  • 재난재해 및 긴급대응을 위한 위성영상처리 및 배포 시스템 개선방안(최람미/항우연)
  • 저궤도 위성 통신을 위한 경량 하드웨어 보안 모듈 설계(박종욱/LIG넥스원)